엉덩이부터 다리까지 쑤시고 저리는데, 디스크일까?
흔히 디스크로 오인받는 '이상근증후군'의 모든 것
이상근증후군, 디스크와 혼동되는 엉덩이 통증 질환
이상근증후군은 의료계에서 허리디스크와 자주 혼동되는 질환으로, 환자들이 정확한 진단을 받지 못해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일부 환자는 이상근증후군임에도 허리디스크로 오진되어 수백만 원의 비용을 들여 불필요한 치료를 받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이상근증후군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적절한 치료를 위해 필수적이다.
이상근(梨狀筋)은 서양배 모양과 유사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해부학적으로는 엉덩이 깊숙한 부위에 위치하며, 겉에서 만져지는 근육인 대둔근 아래 바닥 부위에 자리하고 있다. 이 근육의 위치가 중요한 이유는 좌골신경이 이 부위를 지나가기 때문이다. 특히 요추 4번, 5번에서 시작된 좌골신경이 이상근 아래로 통과하게 되는데, 이 부위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신경 압박으로 인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디스크와 유사한 증상, 그러나 원인은 다르다
허벅지 뒤쪽이 당기고, 허벅지와 종아리가 저리거나 통증이 있다면 많은 사람들은 흔히 디스크를 의심한다. 디스크 질환에서는 척추 디스크가 튀어나와 신경을 압박해 방사통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이상근증후군은 디스크 문제가 아닌 이상근 자체가 두꺼워지거나 염증이 생겨 좌골신경을 압박하는 것이 원인이다.
이상근이 두꺼워지는 원인은 다양하다. 잘못된 자세로 엉덩이 근육을 사용하거나, 반복적인 긴장으로 이상근이 비대해질 수 있다. 또한 이상근 자체에 염증이 발생하여 신경을 자극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이상근이 좌골신경을 지속적으로 압박하게 되고, 신경을 보호하는 피복이 손상되어 만성 통증으로 발전할 수 있다. 따라서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법, 이상근 이완이 핵심
이상근증후군 치료의 핵심은 이상근을 이완시키는 것이다. 치료 방법으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째, 이상근을 이완시키는 운동과 재활치료가 있다. 둘째, 이상근과 신경이 압박되는 부위에 주사 요법을 시행하여 염증을 줄이고 신경 압박을 완화할 수 있다.
그러나 치료에 앞서 정확한 진단이 선행되어야 한다. 디스크와 이상근증후군의 증상이 유사하여 혼동하기 쉽고, 때로는 두 질환이 함께 존재할 수도 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의사의 꼼꼼한 진찰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적절한 치료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집에서도 할 수 있는 이상근 스트레칭 운동법
이상근증후군 치료를 위한 간단한 스트레칭 운동을 일상생활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다. 직장이나 가정에서 TV를 볼 때도 할 수 있는 운동법을 소개한다.
첫째, 앉은 자세에서 허리를 바르게 펴는 것이 중요하다. 구부정한 자세로는 효과를 볼 수 없으므로, 척추를 곧게 펴고 시작해야 한다. 그 상태에서 한쪽 다리를 들어 올리고, 한 손으로는 발목을, 다른 손으로는 무릎을 잡는다. 이때 허리가 구부러지지 않도록 유지하면서 다리를 당긴다. 올바른 자세로 스트레칭하면 엉덩이 근육이 이완되는 느낌이 든다.
둘째, 다리를 들어올릴 때는 단순히 당기는 것이 아니라 원을 그리듯 움직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하면 엉덩이 근육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완된다. 스트레칭을 할 때는 숨을 깊게 내쉬면서 천천히 움직임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만성 통증 예방의 열쇠
이상근증후군은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화될 수 있다. 만성화된 경우 좌골신경의 피복이 손상되어 치료가 더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엉덩이부터 다리까지 이어지는 통증이 있다면 단순히 디스크로 단정짓지 말고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이상근증후군과 디스크가 동시에 있는 경우도 있어,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전문의의 꼼꼼한 진찰이 필수적이다. 환자 스스로도 증상을 정확히 묘사하고, 통증의 양상과 위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이상근증후군은 적절한 운동과 치료로 개선될 수 있는 질환이다. 규칙적인 스트레칭을 통해 이상근을 이완시키고, 필요한 경우 전문적인 치료를 받음으로써 만성 통증 없는 건강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다.
갱년기 호르몬 불균형, 방치하면? 호르몬 치료, 득일까 독일까?
갱년기 호르몬 불균형, 방치하면? 호르몬 치료, 득일까 독일까? | 더뉴스메디칼
갱년기 호르몬 불균형, 여성 건강의 전환점, 갱년기… 호르몬 변화와 그 영향. 여성의 삶에서 사춘기, 임신과 출산만큼이나 중요한 전환점이 바로 갱년기다. 나이가 들면서 난소 기능이 자연스
thenewsmedical.co.kr
초음파로 치매 치료의 새 지평 여나? | 더뉴스메디칼
초음파로 치매 치료, 뇌질환 치료용 초음파로 치매 환자에 희망 전해. 신경초음파학회에서 발표된 최신 연구 결과에 따르면, 초음파 기술이 단순한 진단을 넘어 치매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
thenewsmedical.co.kr
'의료건강뉴스사설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미에서 발견된 무기비소, 섭취 안전성 논란 (0) | 2025.04.25 |
---|---|
간섬유화검사, 간경변 조기 진단의 새로운 희망 (0) | 2025.04.23 |
갱년기 호르몬 불균형, 방치하면? 호르몬 치료, 득일까 독일까? (0) | 2025.04.21 |
초음파로 치매 치료 신기원, 딥슨바이오 임상결과 주목받아 (0) | 2025.04.21 |
저속노화, 느리게 늙는 법을 찾다…몸과 마음을 지키는 새 삶의 방식 (0)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