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섬유화검사, 간경변 조기 진단의 새로운 희망
비침습적 검사로 만성 간질환 환자 진단 정확도 높인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이 최근 발표한 의료기술재평가 결과에 따르면, 간섬유화검사(Liver Fibroscan)가 만성 간질환 환자의 간섬유화 진단과 간경변 진행 정도를 확인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침묵의 살인자' 간질환, 조기 발견이 관건
간은 질환이 상당히 진행될 때까지 뚜렷한 증상을 보이지 않아 '침묵의 살인자'라 불린다. 장기간 바이러스 감염이나 과도한 음주 등으로 발생하는 간섬유화는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지 않으면 간경변이나 간암으로 악화될 수 있어 초기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간섬유화는 F0(정상)부터 F4(간경변증)까지 총 5단계로 구분되며, 숫자가 클수록 간 손상 정도가 심각함을 의미한다.
높은 진단정확도로 혈액검사보다 우수한 성능 입증
NECA는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간섬유화검사의 안전성과 진단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총 64편의 연구(대상자 10,942명)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이 검사는 F2 이상(중등도 이상 섬유화)에서 약 87%, F3 이상(중증 섬유화 이상)에서 약 89%, F4(간경변증)에서는 약 94%의 정확도를 보였다. 이는 M2BPGi(정밀면역검사)나 혈청 간섬유화검사와 같은 혈액검사보다 진단정확도가 우수하며, 횡파 탄성 초음파 영상, 자기공명 탄성도 검사 등 영상검사와 비슷한 수준의 정확도를 보인다.
안전하고 비침습적인 검사 방법으로 환자 부담 줄여
간섬유화검사는 진동자와 초음파 변환기로 구성된 장치를 간 부위 피부에 대고 진동을 가하면서 간의 탄력도를 신속하게 측정하여 섬유화 정도를 수치로 제시하는 비침습적 검사다.
체외에서 이루어지는 비침습적 검사로 환자에게 직접적인 위해가 없으며, 진단 결과의 위음성(가짜 음성)으로 인해 치료 시기를 놓칠 가능성이 낮아 안전한 것으로 평가됐다. 다만 장기적으로 이 검사로 인한 간질환 개선 효과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일반인 대상 검사 시 결과 해석에 주의 필요
보건의료평가연구본부 김민정 본부장은 "간섬유화검사는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간섬유화 진단 및 간경변 진행 정도를 관찰하는 데 적합하며, 임상적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기술"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일반인 또는 간질환 병력이 없는 경우에는 결과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해당 의료기술재평가보고서는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누리집(https://www.neca.re.kr/)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열대우림의 은밀한 조종자 기생충이 만든 개미의 ‘빨간 과일’ 유혹
열대우림의 은밀한 조종자 기생충이 만든 개미의 '빨간 과일' 유혹 | 더뉴스메디칼
열대우림의 은밀한 조종자 기생충, 파나마 콜로라도 섬, 생태계의 숨겨진 관계자들. 파나마의 자연보호구역인 콜로라도 섬은 수많은 동식물이 공존하는 거대한 열대 생태 박물관으로 불린다.
thenewsmedical.co.kr
허리에서부터 엉덩이 그리고 다리까지 저리고 쑤신다. 디스크일까?
허리에서부터 엉덩이 그리고 다리까지 저리고 쑤신다. 디스크일까? | 더뉴스메디칼
허리에서부터 엉덩이 그리고 다리까지, 이상근증후군, 허리디스크와 증상 유사해 오진 위험 높아. 허리에서부터 엉덩이, 다리까지 통증이 이어지는 증상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많다. 대부
thenewsmedical.co.kr
'의료건강뉴스사설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가 호전될 때, 내 몸이 느끼는 현상이 있다? (2) | 2025.04.25 |
---|---|
현미에서 발견된 무기비소, 섭취 안전성 논란 (0) | 2025.04.25 |
엉덩이부터 다리까지 쑤시고 저리는데, 디스크일까? (1) | 2025.04.22 |
갱년기 호르몬 불균형, 방치하면? 호르몬 치료, 득일까 독일까? (0) | 2025.04.21 |
초음파로 치매 치료 신기원, 딥슨바이오 임상결과 주목받아 (0) | 2025.04.21 |